반포는 3억, 잠실에선 1.5억…일단은 내려간 서울 집값, 향후 전망은
6·27 대출 규제 여파로 서울 집값 급등세가 꺾이고 있다.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21개 자치구의 상승폭이 축소됐다.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를 비롯한 한강벨트 지역에선 거래량이 급감하고 신고가 대비 수억 원 하락한 거래도 나타났다. 당분간 숨 고르기가 이어지겠지만 주택 공급 부족 등 이유로 서울 집값이 추세적인 하락을 보일지는 미지수란 분석이 나온다.
1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은 0.29% 오르며 전주(0.40%)보다 상승폭이 축소됐다. 서울 21개 자치구의 상승폭이 일주일 전보다 줄어든 여파다. 특히 강남3구와 강동구가 속한 동남권 집값 상승률이 전주(0.7%)보다 대폭 축소된 0.37%를 기록했다.
6·27 대출 규제 이후 강남권 아파트는 거래량이 급감하고 하락·보합 거래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도 나타났다.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서초구에선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8일 사이 아파트 매매 거래가 딱 2건만 이뤄졌다. 강남구(17건), 송파구(10건) 거래량도 적은 건 마찬가지였다. 규제 직전인 지난달 1~27일 사이 서초구 아파트 거래량이 100건, 강남구 277건, 송파구 248건였던 것과 비교하면 ‘거래 절벽’ 수준인 셈이다.
규제 직후 이달 8일까지 강남구 아파트 하락·보합 거래 비중은 41.2%에 달했다. 거래된 아파트 10채 중 4채 이상은 하락·보합 거래였단 의미다. 규제 직전인 지난달 1~27일 강남구 아파트 하락·보합 거래 비중은 32.9% 수준이었다. 규제 이후 서초구 하락·보합 거래 비중 역시 50%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예를 들어 서초구 반포미도1차 전용 84㎡(10층)는 지난 1일 30억원에 중개 거래됐다. 지난 3월 같은 평형(14층)이 33억4000만원에 팔리며 신고가를 찍은 것보다 3억원 이상 하락한 거래다. 송파구 잠실 엘스 전용 84㎡(12층)도 규제 직전인 지난달 23일 34억원에 팔리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하지만 규제 직후인 지난 7일 같은 평형(22층)이 32억5000만원에 중개 거래됐다. 매매가가 2주 만에 1억5000만원 하락한 것이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유례없이 강력한 대출 규제에 적응하기 위해 적어도 3개월 이상은 서울 집값이 숨 고르기에 들어갈 것 같다. 계절적으로도 여름휴가철은 거래 비수기”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신고가 대비해서 소폭 조정되거나 호가를 아주 높여놨던 게 현실화되는 수준이지 집값 하락이 드라마틱하게 나타나긴 어렵다”며 “서울 입주 물량이 줄고 있고 금리 인하 가능성이 여전히 열려 있기 때문”이라고 전망했다.
6·27 대출 규제 여파가 적은 서울 외곽 지역의 풍선효과에 대한 우려도 여전하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 강서구 아파트값 상승률은 0.25%로 전주(0.13%) 대비 뛰었다. 관악구(0.10%→0.19%), 구로구(0.11%→0.18%), 금천구(0.08%→0.09%)도 상승폭이 확대된 건 매한가지였다. 다만 노원구(0.17%→0.13%), 도봉구(0.08%→0.05%) 등 강북권역 집값 상승폭은 축소됐다.
최환석 하나은행 부동산투자자문센터장은 “시세 10억원 이하 아파트가 몰린 지역은 이번 대출 규제 영향이 적기 때문에 풍선효과가 나타난다고도 볼 수 있다”며 “아무래도 강북권보단 서남권 주택에 대한 수요가 조금 더 높다고 보여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번주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0.08%로 전주(0.07%)보다 소폭 오르기도 했다. 송파구(0.11%→0.23%), 용산구(0.11%→0.22%), 성동구(0.00%→0.17%) 전셋값 상승폭이 커진 게 주목된다. 최 센터장은 “매매 수요가 감소하면 전세 수요가 오를 수밖에 없다”며 “수요는 늘어나는데 전세 매물 감소가 불가피해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