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 재개발 속도내자 … 뒤늦게 “우리도 끼워달라”
서울 성동구 성수동 성수전략지구 재개발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자 구역에서 제외된 인근 주민들이 편입을 요구하고 나섰다. 향후 재개발 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 일조, 소음, 조망 등 피해가 발생한다는 게 이유다. 다만 이는 지구 내 조합원 동의가 필요해 실현 가능성은 불투명하다.
6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성수동 두산위브 아파트 주민들은 최근 성동구청과 성수4지구 조합에 두산위브·대명루첸 아파트의 전략정비구역 편입을 요청하는 민원을 제기했다. 현재 성수4지구는 두산위브·대명루첸을 제외한 지역이 재개발구역으로 지정돼 있다. 이들 아파트 주민들은 성수4지구가 아파트를 둘러싼 ‘기형적’ 형태로 지정돼 향후 정비사업이 본격화하면 재산 피해를 입게 된다고 주장한다. 주민들은 “일조권·조망권·사생활 침해, 소음, 분진 등은 말할 것도 없고 초고층 개발지 인근에서 발생하는 지반 침하와 싱크홀 발생 등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고 호소했다.
성수4지구는 현재 77층 초고층 재개발을 추진하고 있는데 고층 아파트가 구축 아파트를 둘러싸면 일조권 등에 심각한 침해를 받게 된다는 것이 해당 주민들의 우려다.
다만 편입을 위해서는 성수4지구 주민들의 동의가 필요해 구역 외 아파트 주민들과 정비구역 조합원 간 갈등은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 앞서 2019년에도 두산위브 주민들은 전략정비구역 편입을 성동구청에 요청했지만, 성동구는 “정비계획 변경이 필요한 사안으로 조합과 상호 협의가 필요한 사항”이라고 밝혔다.
현재 성수4지구 조합은 이 같은 요구에 매우 부정적인 반응이다. 조합 관계자는 “존치구역 2개 단지(두산위브·대명루첸)의 구역 편입은 사업성을 크게 악화시켜 조합원들에게 실질적인 경제적 피해를 발생시킨다”며 “성수전략정비구역이 2009년 지정된 이후 16년간 사업이 지지부진한 상태에서 조합원들은 이를 묵묵히 인내해왔는데, 이제 와서 구역 편입을 요구하는 건 기회주의적인 민원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서울시가 지난달 성수전략정비구역 1·2·3·4지구 정비계획 결정 및 정비구역 지정안을 서울시보에 고시하며 사업에 속도가 붙기 시작했다. 특히 정비계획상 이 일대에 최고 250m의 랜드마크 건물을 올릴 수 있는 방안이 담기며 이곳이 천지개벽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정보현 NH투자증권 수석연구원은 “강북 지역에서 한강 조망권을 가장 잘 확보한 지역이 성수전략정비구역”이라며 “성수동 일대 첨단 정보기술(IT) 일자리가 확충되는 가운데 고급 주거지까지 결합하며 향후 가치가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성수전략정비구역의 잠재력이 높기 때문에 여기에 포괄되지 못한 구축 아파트 주민들도 강하게 편입을 요구하고 나선 것이라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