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야, 집 사러 법원 갈까?…전문가 절반이 추천목록 올렸다

최근 서울 등 수도권에서 주택거래량이 증가하고 청약 경쟁률은 오르며 실거래가도 반등하는 등 주택시장 회복 기미가 보이는 가운데 부동산 전문가들은 아직 부동산시장의 ‘바닥’을 논하기엔 이르다는 평가를 했다. 집값은 연말까지 현 수준을 유지하거나 소폭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매일경제신문이 16일 학계와 컨설팅업계, 주택관련 협회 등 부동산전문가 20인을 대상으로 긴급 실시한 설문조사결과 최근 부동산 시장의 지표 호전을 ‘반등의 시작’으로 보는 의견은 10%에 머물렀다. ‘일시적인 현상이고 아직 판단하기 이르다’는 답변이 75%에 달했다. 15%는 ‘서울에서만 반등이 시작됐다’고 평가했다. ‘장기적 추세 전환’을 꼽은 전문가는 한명도 없었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최근 3개월 정도 거래량이 증가했는데 추세 전환을 판단하려면 적어도 2개 분기 데이터가 축적돼야 한다”고 면서 “5,6월은 돼야 의미있는 분석을 할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부동산 시장 반등에 앞서 금리인상 중단과 자산시장 회복 등이 선행되는데 아직은 그런 단계가 아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향후 집값 전망에 대해서도 대체적으로 보수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현 수준에서의 소폭 등락’과 ‘5% 이내 하락’을 꼽은 의견이 각각 40%로 가장 많았다. 이에 반해 ‘5% 이내 반등’을 점친 의견은 10%에 불과했고, 5% 넘게 오른다는 의견은 전무했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리서치본부장은 “2010년에도 당시 MB정부가 부동산 규제를 대거 완화했지만 의미있는 반등은 한참 뒤였다”라며 “우선 금리가 내리고 실물경기가 살아나는 조짐이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의 이같은 판단은 최근 부동산시장이 1,2월과 비교해선 회복세이지만 정부의 규제완화와 특례보금자리론 유입효과 등에 의한 것으로, 아직 추세전환을 말하기엔 이르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미국발 고금리 기조와 경기침체 우려가 여전하다는 점도 부동산 시장의 반등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최근 미국, 유럽에서 연이어 불거진 뱅크런과 국채시장 혼란은 국내 금융권에도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설문결과에도 이같은 평가가 드러난다. 부동산시장의 남아있는 리스크에 관한 질문(복수응답)에 ‘고금리’를 꼽은 응답이 75%로 가장 많았고 ‘지방 미분양’과 ‘여전히 높은 집값 수준’이 각각 40%로 뒤를 이었다. 설문에 참여한 한 전문가는 “경기침체가 지속된다면 부동산시장의 추세 전환도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최근 서울 등 일부 지역에서 나타나는 청약경쟁률 상승도 주택 수요의 추세적 전환보다는 규제완화에 의한 훈풍이라는 평가가 주류다. 청약흥행 원인과 관련해 전문가의 85%는 ‘전매제한 등 규제완화’를 꼽은 반면, ‘글로벌 경기회복 기대’라는 응답은 한명도 없었다. ‘신축 공급부족’과 ‘매수심리 개선’이 각각 25%였다.

올해 가장 유망한 부동산 투자상품을 꼽아달라는 질문엔 ‘경매물건’이 응답률 40%로 가장 많았다. ‘서울·수도권 신규분양 청약’(25%), ‘서울 재건축 아파트’(15%)가 뒤를 이었다. 지난해 말 본지가 부동산전문가 50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때 같은 질문에 대해 ‘경매물건’(51%), ‘아파트’(44%. 이상 복수응답 기준) 순서로 나온 결과와 비슷한 기조를 유지한 셈이다. 당분간 고금리와 경기침체로 인해 경매물건이 쏟아질 수 있는만큼 여기서 ‘줍줍’ 기회를 노려봄직 하다는 의미다.

error: 더블클릭 금지!!